" 매일 사용하던 엘리베이터가 어느 날 갑자기 운행 중 멈췄다면?
당신은 탈출할 건가요? 기다릴 건가요? "
회사, 상가건물, 아파트 등 요즘은 웬만한 건물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. 사람의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이동수단인 엘리베이터는 요즘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과학의 산물입니다.
하지만 종종 엘리베이터 추락, 고장, 끼임 사고 등 여러 불편한 모습들을 뉴스나 기사로 접해보셨을 겁니다.
이제부터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알려드릴 테니 꼭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.
"영화 속 주인공이 승강기에서 탈출하는 모습을 많이 보셨을 텐데
현실에서는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금기입니다. "
승강기 사고의 주원인
1. 관리측면의 부실
- 전력 부족 또는 변압기 고장으로 인한 정전
- 전원 퓨즈 절단 등으로 건물 기기 불량
2. 장치 고장 또는 오작동
- 부주의 또는 센서 감지로 안전장치 작동
- 뛰거나 충격을 가해 안전장치 작동
- 주행 중 도어 개방 시도
3. 화재 발생 또는 정전
- 건물 내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전력 차단
승강기 사고 대처 방법
사람들은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갑작스럽게 마주쳤을 때 공포를 느낀다고 합니다. 매일 사용하던 승강기에서 사고가 일어날 때 누구나 공포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. 또한 그 공포 속에서 평정심을 유지하지 못하며 공황장애 또는 폐쇄공포증으로 변할 수도 있습니다. 승강기 고장 시 추락 대비 안전장치가 준비되어있으며 충분한 산소 유입 및 빠른 구조가 가능하니 침착하게 구조를 기다려주시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.
1. 차분한 마음가짐
- 불안한 마음으로 강제로 문 개방 시도 시 추락위험이 있습니다. 대부분 구조 요청 후 30분 이내로 구조가 가능하며 전력이 차단되어도 비상조명등 점등으로 안심하고 차분한 마음으로 기다려주세요.
2. 승강기 내 비상연락 장치 사용하여 고장사실 외부 전달
- 승강기 키패드 상단 또는 하단에 전화기 모양의 버튼의 비상 호출 버튼으로 고장사실 외부로 전달합니다.
3. 비상연락 장치 사용 불가시 핸드폰으로 유지관리업체 및 119 구조대 신고
- 신고 시 승강기 번호를 꼭 전달해주어야 빠른 위치 확인이 가능합니다.
4. 적정 하중 및 인원 엄수
- 적정 이상 적재 또는 탑승은 기계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위험하므로 꼭 엄수하여 지켜주시기 바랍니다.
승강기 사용 안전수칙
건물 또는 승강기의 관리 부족 또는 노후화로 인한 고장으로 발생하는 사고는 막을 수 없으나 사람으로 인한 인적 사고는 막을 수 있습니다. 어린 자녀들의 장난 또는 대한민국의 빨리빨리 습관 등 여러 문제들을 조금씩 고쳐나가는 안전한 대한민국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
1. 승강기 사용 시 뛰거나 충격 금지 및 버튼으로 장난 금지
2. 옷이나 소지품 또는 신체가 문에 끼지 않도록 주의
3. 문에 기대거나 운행 중 문 개방 시도 금지
4. 승강기 적정 인원 및 적재 하중 엄수
5. 지진 또는 화재 시 승강기 사용 금지
6. 아이 또는 애완동물은 반드시 안고 탑승
엘리베이터 추락 시 대처방법
구조요청 후 기다릴 시 이 자세를 취해주시면 더 좋습니다.
엘리베이터 코너에 위치하여 양팔은 양 코너의 벽면 손잡이를 잡고 등과 허리를 벽과 바닥에 붙지 않게 앉은 상태로 기다리시면 더 좋습니다. 혹 시나모를 추락상황 시 신체에 부담이 가장 적은 자세입니다.
'응급상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화재 시 대응 방법'Tip (6) | 2022.10.04 |
---|---|
심폐소생술,자동제세동기'Tip (2) | 2022.10.02 |
댓글